은둔형 아줌마의 중국 생존기

2화: 학교에서 살아남기

문쌤 2022. 6. 19. 23:49

앞서 밝혔듯, 한 번도 생각해 본 적 없는 중국행에 몸과 마음은 항상 경직되어 있었다.

나에게 주어진 과제는 '살아야' 했고 '배워야'했다.

 

학교 내에선 특히 점심 시간이 가장 곤혹스러웠다.

메뉴를 읽고 말할줄 알아야 먹고살 수 있기 때문에...

 

 

밥, 밥, 밥

 

학생 식당 메뉴판

 

 

 학생 식당에서 같은 반 유학생들을 만나면 도움을 받기도 했다.

특히 교환학생으로 온 한국 학생들의 메뉴를 따라서 주문하곤 했는데,

일주일 내내 그 메뉴만 먹는 일이 일상다반사였다.

물론 맛있었지^^

 

그러다가 외국인 학생들이 먹는 음식이 맛있어 보이면 따라서 시키거나,

내 앞에서 주문하는 중국 학생의 낯선 음식을 보며 같은걸 달라고 하기도 했다.

 

뭐라고 말했냐고 묻는다면?

우리에겐 만국공통어 바디랭귀지가 있고, 

더불어 나는 세상 무서울 것 없는 천하무적 대한민국의 아줌마라는 사실!

 

 

학생식당 훈툰

 

중국어가 입에 달라붙은 뒤로는  내가 원하는 대로 주문을 하거나

식당 입구에서 메뉴판을 읽고 골라서 들어가는 일이 자연스러워졌다.

 

 

   

학생식당 황먼지(간장 닭볶음탕 같은~)

                     

 

이렇게 진화하기 까지 

아마도 두 학기를 마친 이후가 아니었나 싶다.

 

 

학생식당 우육면

 

 

한 학기 약 4개월 정도 배우고 방학 동안 다 까먹고 다시 한 학기 다니고...

그러다 때려치우고... 1년 쉬다가...

어느 학기엔 다시 또 수강 신청해서 다니다... 말다...

 

 

시험, 시험, 시험

그랬다.

어학원 코스를 공부하다가 HSK 자격증을 따면 본과에 진학할 수 있다.

그러나 나는 HSK 자격증을 따고도 나이 제한에 걸려 본과에 진학할 수 없었다.

 

 

수업시간100

 

그 당시 유학생 담당 선생님은

"대학교는 40세, 석사는 45세가 커트라인"이라고 하셨다.

 

'엥? 나는 둘 다 해당 안 되네?'

 

중국에선

되는 것도 없고 안 되는 것도 없다던데,

이 문제는 '되는 것도 없는' 쪽에 해당되는구나...

 

교과서의 수준 차이는 있었지만 늘 똑같은 반복이 심드렁해져서

불량한(?) 학생이 되었는지도 모른다.

 

 

수업 시간200

학생들은 시험 성적에 굉장히 민감하다.

나도 학생이다. 민감할 수밖에 없다.

 

 

숙제 발표

 

우리나라만큼이나 성적표를 꼼꼼하게 체크하는 것도 버거웠다.

중간고사 30%,기말고사 40%, 평소 점수 30%

 

평소 점수는 우리 나라와 비슷하다.

 

출석 35%, 숙제 30%, 수업시간 참여도 30% 그리고 문화 수업 5%

단, 휴가서(결석계)를 자주 내거나 결석 3번 하면 시험을 봐도 취소, 

지각 또는 조퇴 3번은 결석 1번과 같다.

너무 빡세다.

 

 

성적표 계산 방법

 

 

그때 알았더라면...

영어 때문에 처음 중국어 수업 들을 때 한 학기 내내 고생했다는 얘기를 이미 첫 장에 고백했다.

중국어 수업을 영어로 진행하다니...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선생님 중에서도

가장 영어를 잘하는 선생님이 기초반 수업을 맡았다고 한다.

학교 측 배려인데도 그 배려를 받아먹지 못했다. ㅠㅠ

 

 

노안 때문에 돋보기 안경과 카드형 돋보기 2개 갖고 다니며 책 읽기

 

 

같은 반 교실에서도 너도나도 중국어가 서툰 기초반일 때는

외국인 학생들과

"니하오!"

인사 한 마디도 겨우 했었다.

 

하지만 중국어가 어느 정도 익숙해지고,

학생들과 사생활을 묻고 답할 수 있게 되었을 때,

나는 한 여학생으로부터 새로운 사실을 듣게 되었다.

 

"학교 수업이 끝난 저녁 시간이나 주말에 영어 학원에 가서 중국 초등학생들을 가르치는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어요"

 

지금은 규정이 바뀌었는지 모르겠으나

그 당시 외국인 본과생은 아르바이트가 허용되었으나

어학원을 다니는 유학생은 금지되었다.

그 학생은 '비밀'이라고 내게 말했었다.

 

그땐 중국어도 벅찬 시기였던 터라 

그 얘기를 듣고도 흘려버렸는데

훗날 후회했었다.

 

 

 

 

 

그 학생에게 영어를 배웠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아니,

영어뿐 아니라 배우고자 마음먹으면 못 할 외국어가 없었다.

터키, 일본, 러시아, 베트남, 몽고 등등

기회가 늘 있는 게 아닌데...

 

 

...

 

...

 

굳이 변명을 하자면,

위에서도 밝혔듯,

한 번도 생각해 본 적 없는 중국행에 몸과 마음은 항상 경직되어 있었다.

나에게 주어진 과제는 '살아야만' 했고 ' (중국어를) 배워야만' 했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