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이 이끈 영상 속 외국 여성은, 산행하던 중 길을 잃었고 2년이 지난 후에야 발견되었다. 실종된 후 매일 기록을 남긴 그녀의 흔적을 보니 한 달 정도 생존 후 굶주려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했다.
나같은 길치는 초행길인 산길을 혼자 가는 것에 각별히 주의해야겠다.
그래서 오늘 선택한 걷기 챌린지 장소는 인천의 보물, 인천의 자랑 월미산 월미공원으로 정했다.
지난 월미바다열차 체험했을 때 월미산 월미공원은 잠깐 둘러볼 공원이 아니라 따로 시간 내서 여유 있게 감상하면 좋을 곳이라 생각되어 일부러 아껴뒀던 곳이다.
오늘 춥다는 뉴스를 들었던터라 나름 따뜻하게 챙겨 입었다.
다만 국민 패딩이라 불리는 검정색 롱패딩은 입지 않았다. 요가 갈 때 반팔 운동복에 입으면 추위는 막아주지만 걸을 때 거추장스러워 간편한 복장으로 집을 나섰다.
대신 장갑, 모자, 두꺼운 양말은 잘 챙겼다.
로비층을 나서는데... 나뭇가지는 바람에 의해 이리저리 휘어지고 낙엽이 춤을 추고 있었다.
'추...추운데? 이대로 괜찮...을...까?'

집에 다시 들어갈까 말까 백만 번쯤 고민하다 그냥 나가기로 했다.
김밥 패딩이 간절했지만 이미 후회해도 소용없었다. 나는 이미 지하철을 타고 이동 중었으므로.
월미공원은 군사보호구역으로 민간인 출입 금지였으나 2001년 국방부로부터 관리권을 인수한 인천시가 2001년 10월 13일 월미공원 개방 및 기념행사를 통해 시민에게 녹지를 개방한 곳이다.
인천상륙작전 전적지인 월미산은 민간인 출입이 금지된 탓에 오히려 자연 생태가 잘 보존되어 울창한 숲이 형성되고 다양한 동식물들이 공존한다.

매번 느끼는 것이지만, 미술관, 박물관뿐 아니라 산을 거닐어도 해설가의 해설이 곁들여지면 훨씬 풍부한 감상을 할 수 있다는 것. 월미산 역시 마찬가지다.
월미공원 숲 해설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데 한 번쯤 숲 해설가의 자세한 설명을 들으며 월미산 월미공원에 대해 공부하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운영 기간 : 3월 14일 ~ 11월 30일
운영 시간: 10시 30분~15시 30분
신청 대상 : 누구나
운영 장소 : 월미공원 일대
신청 인원: 회당 10명 이내
비용 : 무료




월미산 월미공원엔 아픔과 고난의 시련 속에서 살아남은 '월미 평화의 나무'가 있다.
인천상륙작전의 격전지였던 월미공원에서 살아남은 나무 7그루를 찾아내 '월미 평화의 나무'로 선정하였다.
이 나무들의 공통점은 모두 전쟁의 상처를 이기고 다시 일어선 나무들이다.


그날을 기억하는 나무인 '은행나무' 주위엔 숲속 작은 도서관과 전통 정원을 감상할 수 있는 벤치가 마련되어 있었다.
유독 '달' 모양이 눈에 띄었는데 생각해보니 월미산이 달의 꼬리를 닮았다 하여 月尾라 했다 하니 이해가 된다.







월미공원 초입에 자리 잡은 '꿈동산'
아이들이 좋아할 만한 곳이어서 그냥 지나치려다 멋진 포즈를 취하고 있는 얼룩 선생에게 이끌려 잠깐 구경했다.
귀여움 한도 초과다 ㅎㅎㅎ

월미산 걷기 스타트 지점에 섰다.
바닥엔 친절하게도 '1m당 0.05Kcal 소모, 수명 1.5초 연장' 이라는 고급 정보를 알려주고 있다.
뼈에 새기라는 듯 바닥에 새겨놨다.
"1m 걸을 때마다 겨우 0.05Kcal를 소모해, 오늘 먹은 걸 생각해봐. 얼마나 걸어야 하는지 계산이 되지?"

포장된 도로 맨 오른쪽엔 흙길이 조성되어 있다.
'흙길 걷는 방향'을 알려주는 플래카드가 길 안내를 해주고 있다.


돈대
돈대는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설치한 방어물로, 성을 쌓기 곤란한 능선이나 계곡, 해안가 등에 작은 규모로 흙이나 돌을
쌓아 만들었다.
[영종 지도]를 보면 월미도 남서쪽 약 4부 능선에 둥근 원형 모양의 돈대가 있었다.
지금은 그 흔적을 찾을 길 없으며, 현재 돈대로 추정되는 곳에는 여러 채의 군인 막사가 설치되어 있어 이미 훼손된 것으로
생각된다. 월미 돈대를 언제 쌓았는지 정확한 연도는 알 수 없다. 다만 강화에 설치되어 있는 돈대가 숙종 때 건립되었던 것
으로 보아 비슷한 시기에 세워진 것으로 생각된다.
월미 돈대는 외국 세력의 접근이 활발하던 조선 후기에는 이들로부터 인천과 강화도의 성을 지키는 군사시설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 인천광역시 참조




인천시 마스코트 물범 삼형제의 모습을 보니 여기가 정상인가 싶었는데 물범카 타는 장소인 동시에 총 5개의 길로 나뉘는 넓은 광장이었다.




#1. 예포대
예포는 국가, 부대, 함정을 공식 방문하는 내외국의 국가원수, 고위관리 등이 도착하거나 군함이 외국의 항구에 입항하는 등 각종 의례시 경의를 표시하기 위해 군대나 군함이 공포탄을 발사하는 예식 절차.
고종황제 즉위 4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각국 대사를 맞이하는 포대를 월미도에 설치했다는 기록이 전한다.

#2. 월미산 정상
넓은 광장에서 160m만 올라가면 드디어 서해바다와 저녁노을이 아름다운 월미산 정상이다.










월미산 정상으로 올라가는 길 양쪽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예쁜 문구가 새겨져 있다.
천천히 오르면서 문구 하나하나 읽다 보면 어떤 문구가 가슴에 꽂히게 된다.
현재 처한 상황에 따라 각각의 문구는 위로가 되기도 하고 희망이 되기도 하겠지...?
그러나
그렇게 생각한 건 나만의 착각!
월미산 정상을 오르는 160m 길 양쪽에 새겨진 문구는 큰 그림을 위한 밑작업이었다는 것을 월미산 정상에 올라서고 알게 되었다.
그것은 바로...
.
.
.
.
.
.
.


"나랑 결혼해 줄래"
프로포즈 장소였던 것!!!
사랑하는 연인이 있다면 이곳에서 프로포즈하면 특별할 것 같다.
산 올라오다가 힘들어서 괜히 싸우게 되는 건 아닐까?
(인천시에서는 최선을 다했으니 나머지는 연인들끼리 해결하는 걸로~^^)


"산과 바다를 품어라"
뭔가 웅장한 느낌이다.




월미산 정상에서 확 트인 바다를 보니 가슴이 뻥 뚫린 기분이었다.
그러나 이때 손가락이 언 것 같았다.
매서운 칼바람 맛을 정통으로 느끼게 되었다.


#3. 전망대
다시 내려가서 이번엔 전망대 쪽으로 걸어갔다. 카페도 있다니 그곳에서 따뜻한 차를 마셔야지.




붉은 융단을 깔아놓은 것처럼 보이는 전망대 가는 길의 단풍나무 길.
너무 예뻐서 단풍 나뭇잎 들고 찰칵! ^^

월미전망대.
엘리베이터를 타고 5층으로 올라가면 그림 같은 인천 바다가 한눈에 펼쳐진다.





경치가 좋아 전망대에 오래 머물고 싶었지만 칼바람에 날아갈 것 같아서 4층 카페테리아로 자리를 옮겼다.
달빛마루 카페는 인천중구노인인력개발센터에서 어르신 일자리 창출을 위해 운영 중인 실버 카페다.
이런 곳은 꼭 이용해야하는 게 매너지 ^^

5층 전망대에서 보는 풍경도 좋지만 따뜻한 카페에 앉아 바다 구경하는 게 더 좋았다. 커피도 good~
#4. 월미공원 입구까지 곧장 내려갈 수 있는 지름길.
계단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나는 계단을 이용해서 내려갔지만 걸어서 올라오는 길로 다시 내려가는 게 더 운치 있을 듯~


ps. 다섯 갈래 길이 있다고 했으면서 왜 네 개의 길만 적었냐...는 질문은... 설마 하지 않겠지?

'은둔형 아줌마의 100일 걷기 챌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일 걷기 챌린지]77일차. 힐링이 필요할 땐 도서관에서 놀기 (26) | 2022.12.01 |
---|---|
[100일 걷기 챌린지]76일차. 문화가 있는 날, 더블리스코리아의 '유쾌한 경성 음악' 세계로의 초대 (남동소래아트홀)/ 소래해넘이전망대 산책 (26) | 2022.12.01 |
[100일 걷기 챌린지]74일차. 자가진단키트 검사 (23) | 2022.11.28 |
[100일 걷기 챌린지]73일차. 혼자 놀기의 달인되기/한동안 뜸 했었지/ 청바지 아가씨/ 한국 팝의 고고학 7090 '사랑과 평화' 공연 후기 (20) | 2022.11.27 |
[100일 걷기 챌린지]72일차. 제가 보고 싶으신가요/ 한겨례21 김진해 교수 칼럼을 읽고 (18) | 2022.11.26 |